인덕원 동탄 전철 노선도 총정리: 노선 개요, 역 목록, 개통 일정, 환승 포인트까지
왜 지금 ‘인덕원·동탄선(인동선)’이 중요한가
경기 서남부(안양-의왕-수원-용인-화성)를 동서로 관통하는 광역철도인 ‘인덕원·동탄선’은 총 연장 약 37.1km, 정거장 18개(가칭)로 계획된 수도권 전철 신규 노선입니다. 2023년 말 실시계획 승인과 함께 전 구간 착공이 공표됐고, 현재 공정은 10%대(2025년 1월 기준) 수준으로 진행 중이며 정부·언론이 밝힌 공식 목표 개통 시점은 2029년 12월입니다. (위키백과, Brunch Story, 시그널)
노선이 열리면 인덕원-동탄 구간 이동 시간이 약 30~45분대로 단축될 것으로 전망되며, 5개 도시(안양·의왕·수원·용인·화성) 약 400만~500만 인구가 직결됩니다. (Brunch Story, Brunch Story)
인덕원 동탄 전철 노선 개요 한눈에 보기
- 노선명(공식 고시명):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 2021년 역명심의위에서 ‘동탄인덕원선’으로 의결
- 총연장: 37.1km(복선 34.5km + 단선 연결선 2.6km)
- 정거장 수: 18개(가칭)
- 전 구간 지하(서동탄 연결선 제외)
- 전력/궤간: 교류 25kV, 표준궤 1,435mm
- 소유: 국가철도공단, 운영기관 미정(개통 전 확정 예정)
- 급행 정차 예정역(기본계획안 기준): 인덕원·오전·수원월드컵경기장·영통·동탄(총 5곳)
(위키백과, The survival of capitalism, 식품의약품안전처)
주의: 역명과 급행 정차역은 ‘가칭’이며, 공사 진행 중 설계 변경·주민 의견 수렴 결과에 따라 바뀔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
도시별(구간별) 예상 역 목록

아래는 기본계획·실시계획(언론 보도/지자체 요구 반영안 포함)을 종합 정리한 ‘가칭’ 역명 리스트입니다. 실제 최종 고시 전까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 호갱노노, 위키리크스 한국)
안양시 구간
- 인덕원역(4호선 환승, GTX-C·월곶판교선 환승 예정) (위키백과, mcnews.co.kr)
- 안양농수산물도매시장역(계원예술대학교 인근) (anyangnews.net, 유튜브)
- 호계역(호계사거리 일대) (위키백과, 호갱노노)
의왕시 구간
수원시 구간
- 북수원역(교육원삼거리 부근, 추가 요구 반영) (위키백과, 호갱노노)
- 수원야구장역(KT위즈파크 인근) (위키백과, KT Wiz)
- 수원월드컵경기장역
- 아주대삼거리(법원사거리)역
- 원천역
- 영통역(수인·분당선 환승) (위키백과, 위키백과)
용인시 구간
- 서천역
- 기산반월역
(호갱노노)
화성시 구간
- 능동역
- 반송역
- 동탄역(SRT, GTX-A 환승 예정) (위키백과, The survival of capitalism)
- 서동탄역(병점차량사업소 연결선)
- (차량기지: 병점차량사업소) (위키백과)
환승 포인트 & 네트워크 효과
- 인덕원역: 4호선·GTX-C·월곶–판교선(2025년 예정) 환승으로 ‘트리플 환승 허브’ 기대. (mcnews.co.kr, anyangnews.net)
- 영통역: 수인·분당선과 환승, 분당·청량리·인천 방면 이동성↑. (위키백과)
- 동탄역: SRT, GTX-A(공사 중)와 직결, 강남·수서·삼성 접근성 대폭 개선. (부동산 미디어 플랫폼, 위키백과)
개통 일정, 왜 ‘2029년’인가
초기에는 2026년 전후 개통 전망이 언급됐지만(지자체·지역 언론 등), 실제 실시계획 승인 이후 공식적으로는 2029년 12월 개통 목표가 명시되었습니다. 예산 증액과 추가역 신설, 공구 분할 발주, 지하구간 비중 등으로 사업 기간이 늘어난 점이 배경입니다. (anyangnews.net, 위키백과, Brunch Story)
현재 공정률과 리스크 포인트
- 2025년 1분기 기준 공정률 약 10%대(언론 보도). (Brunch Story, 시그널)
- 지하 대단면 터널 다수, 복잡한 환승 구조(특히 인덕원역 복합정거장), 주민 민원·지반 안전 문제 등으로 공사 변수가 큼. (mcnews.co.kr, 시민일보)
- 역명 확정 및 환승 동선 설계는 추후 변경 가능. (위키백과)
5개 도시 생활권을 잇는 ‘비즈(Biz) 라인’
인동선은 평촌(교육·주거) – 의왕(행정) – 수원(스포츠·법조·상업) – 용인(산업·주거) – 동탄(반도체·바이오) 산업벨트를 연결, 출퇴근·물류 흐름을 바꿀 ‘비즈 라인’으로 불립니다. (Brunch Story, Brunch Story)
노선도 텍스트 버전(가칭 역명 기준)
인덕원 - 안양농수산물도매시장 - 호계 - 오전 - 고천(의왕시청) - 북수원 - 수원야구장 - 수원월드컵경기장 - 아주대삼거리(법원사거리) - 원천 - 영통 - 서천 - 기산반월 - 능동 - 반송 - 동탄 - 서동탄(연결)
실제 노선도는 국토교통부·국가철도공단 공개 도면 또는 고시문을 참고하십시오. (위키백과, 호갱노노)
부동산·생활 변화 예측 포인트 (블로거 관점 체크리스트)
- 역세권 신규 분양·재개발 지역 모니터링: ‘역명 붙은 아파트’ 경쟁률↑ 사례 다수. (Brunch Story, 일요시사)
- 환승역 예정지(인덕원·영통·동탄) 상권 변화: 유동 인구 급증, 1층 리테일 가치 상승 가능. (Brunch Story, 부동산 미디어 플랫폼)
- 북수원·능동 등 기존 교통 소외 지역의 시세 재평가. (호갱노노, 부동산 미디어 플랫폼)
- 공사 중 교통 통제/GPR 탐사 등 안전 이슈 지속 체크. (시민일보)
자주 묻는 질문(FAQ)
Q. 실제 개통이 2029년보다 더 늦어질 수도 있나요?
A. 대형 지하철도 공사는 변수(지반, 민원, 예산)로 인해 지연될 가능성이 항상 있습니다. 다만 현재는 2029년 말 목표로 추진 중이며, 공정률에 따라 중간 점검 때 조정될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 Brunch Story)
Q. 역명이 확정됐나요?
A. 아직 ‘가칭’ 단계 역이 많습니다. 실시계획 고시 이후에도 주민 공청회, 역명 심의 등을 거쳐 변경될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
Q. 급행열차는 어떻게 운행되나요?
A. 기본계획안 기준 5개 역(인덕원·오전·수원월드컵경기장·영통·동탄)에 정차하는 급행 운행안이 제시됐습니다. 향후 운행계획 수립 과정에서 조정될 수 있습니다. (The survival of capitalism, 식품의약품안전처)
마무리: 인동선 정보를 추적하는 방법
- 국가철도공단 ‘주요사업현황’ 및 국토교통부 고시문
- 지자체 보도자료(안양·의왕·수원·용인·화성)
- 공정률·역명 확정 관련 지역 언론/공식 브리핑
- 공사현장 안내판(공구별 시공사 표기) 및 주민설명회 자료
키워드(요약): 인덕원동탄선, 인동선 노선도, 2029년 개통, 정거장 18개, 급행 정차역, 환승역 인덕원 영통 동탄, 북수원역 가칭, 수원월드컵경기장역, 국가철도공단, 수도권 전철 신규노선



















